본문 바로가기
문학/현대문학

김동리 - 무녀도 줄거리 등장인물 결말 교훈 요약 알아보기

by 창호왕 2023. 10. 3.
반응형

"무녀도"는 김동리의 단편소설로, 1936년에 조선중앙일보에 발표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김동리가 1930년대에 발표한 작품 중 하나로, 그의 단편소설 전문성을 보여주며 대중과 평단 모두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작품입니다.

 

반응형

 

등장인물

  • 이야기의 화자.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듣는다.

모화

  • 이야기의 주인공. 무녀도라고 불린다. 경주의 작은 산골 마을에 사는 무녀로,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하면서도 동시에 무당 일을 한다.

욱이

  • 모화의 아들. 어릴 적에 모화에게서 떨어져 기독교를 접하고 믿음을 가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어머니 모화와의 갈등이 시작된다.

낭이

  • 모화의 딸이자 욱이의 여동생. 어려서부터 욱이와 함께 자랐으며, 청각장애가 있는데다가 성격은 내성적이다.

낭이의 아버지

  • 낭이의 두 번째 남편.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상점을 운영하며 가끔씩 딸을 보러 오는 역할을 한다.

줄거리

"무녀도"는 전통과 근대, 무속과 기독교의 충돌을 다루는 이야기입니다. 이 작품은 모화라는 주인공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모화는 작은 산골 마을에서 무녀로 살면서 동시에 어머니의 역할을 하며 무당의 일을 한다. 그러나 모화의 아들 욱이가 돌아오면서 기독교를 믿게 되고, 어머니 모화는 그를 귀신이 씌운 것으로 생각합니다. 어머니와 아들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욱이는 기독교를 믿게 되어 성경을 읽고 예수를 공부합니다.

이후, 욱이는 기독교를 믿는 친구들과 함께 모화의 마을을 방문하면서 믿음을 전파하려고 노력합니다. 모화는 이에 반대하며 갈등이 고조되고, 결국 모화는 아들을 죽이게 됩니다. 이 사건 이후 모화는 미쳐가며 굿을 하며 자신을 달래고 마을 사람들은 그를 멀리하게 됩니다. 하지만 모화의 굿은 큰 관심을 받고, 결국 그녀는 익사하게 됩니다.

낭이는 오빠와 어머니를 잃은 후 한동안 앓다가 낭이의 아버지가 찾아와 그녀를 돌봐주며 어디론가 떠나게 됩니다. 마을에선 모화의 집은 관심을 받지 않게 되고, 낭이와 그녀의 아버지는 한동안 "나"의 할아버지를 찾아가며 시간을 보내고, 낭이는 무녀도를 그려 남겨집니다.

비평

"무녀도"는 전통 문화와 외래 문물, 무속과 기독교의 대립을 강력하게 다룬 작품입니다. 작품 내에서 기독교의 확산과 무속 신앙의 충돌이 민감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모화와 욱이, 그리고 마을 사람들 간의 갈등을 통해 한국 사회의 종교적, 문화적 충돌을 보여줍니다.

모화와 욱이의 관계는 믿음과 갈등, 이해와 불화의 상징적인 대립을 보여줍니다. 모화는 무당으로서의 전통적 역할을 하면서도 욱이의 기독교 믿음을 이해하지 못하고 적대적으로 대합니다. 이를 통해 작가는 전통과 근대, 무속과 기독교의 대립을 역설적으로 그립니다.

작품은 모화와 욱이를 중심으로 미국 선교사의 도착과 마을의 변화를 묘사함으로써 외래 문물의 침투와 문화적 충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비판적 시선을 통해 작가는 전통과 근대의 충돌에서 비롯되는 긴장과 대립 관계를 표현합니다.

무속과 기독교, 전통과 근대, 믿음과 갈등의 테마가 복합적으로 엮여 있는 "무녀도"는 김동리의 작품 중 하나로서 한국의 문화와 종교에 대한 이해를높이는 데 기여한 작품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