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생활지식

3.15 의거 기념일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창호왕 2025. 3. 13.
반응형
반응형

3.15 의거란?

3.15 의거는 1960년 3월 15일,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부정선거에 항거한 민주화 운동입니다. 당시 이승만 정권은 자유당 후보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해 대규모 선거 조작을 감행하였고, 이에 분노한 국민들이 마산을 중심으로 시위를 벌였습니다. 정부의 강경 진압으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이후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3.15 의거의 배경

  •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초대 대통령 이승만은 장기 집권을 위해 독재 체제를 강화하였습니다.
  • 1954년 사사오입 개헌을 통해 대통령 3선 연임을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 1956년 제3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승만이 당선되었지만, 부통령 선거에서는 야당 후보 장면이 승리하여 자유당 정권에 위기가 닥쳤습니다.
  • 1960년 제4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승만은 사실상 단독 후보였지만, 부통령 선거에서 이기붕을 당선시키기 위해 대규모 부정선거를 저질렀습니다.
  • 이를 저지하기 위해 마산 시민과 학생들이 거리로 나섰고,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희생자가 발생하며 본격적인 민주화 투쟁이 시작되었습니다."

3.15 의거의 전개

  • 1960년 3월 15일, 부정선거 규탄 시위가 경상남도 마산에서 시작되었습니다.
  • 경찰은 시위대를 강제 해산시키고 최루탄과 총격을 사용하여 무력 진압을 감행했습니다.
  • 이후 4월 11일, 마산 앞바다에서 실종된 김주열 열사의 시신이 발견되면서 국민들의 분노가 극에 달했고, 이 사건은 4.19 혁명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습니다.

3.15 의거의 결과와 영향

  • 4.19 혁명이 일어나면서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였고, 자유당 정권이 붕괴했습니다.
  • 이후 대한민국은 민주주의를 향한 첫걸음을 내딛게 되었습니다.
  • 독재 정권에 맞선 국민 저항 정신의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3.15 의거 기념일

  • 2010년부터 대한민국 정부는 3월 15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였습니다.
  • 매년 3월 15일,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에서 공식 기념식이 열립니다.
  • 3.15 의거의 역사적 의미를 알리고, 민주주의 발전을 기념하는 날로 자리 잡았습니다.

3.15 의거의 역사적 의의

  1.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시초
    • 3.15 의거는 독재 정권에 맞선 국민 저항의 시작이었으며, 이후 4.19 혁명과 6월 민주항쟁 등으로 이어졌습니다.
  2. 부정선거 반대와 선거제도 개혁
    • 이 사건 이후 대한민국은 보다 공정한 선거 제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3. 민주주의 정신 계승
    • 매년 기념 행사를 통해 학생들과 시민들에게 민주주의 정신을 계승하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 3.15 의거의 핵심 키워드

3.15 의거, 부정선거, 민주화 운동, 마산 시민 시위, 경찰 강경 진압, 김주열 열사, 4.19 혁명, 이승만 하야, 자유당 몰락, 국가기념일